초고령 사회, 치매가 두려운 이유
2024년 08월 09일
인간에게 가장 무서운 병 중 하나인 치매(癡呆). 현대 의학 기술로도 완치할 수 없는 이 질환은 인류 모두가 피하고 싶어 하는 질병이다. 특히 한국처럼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에서는 그 두려움이 더욱 크다. 이번 글에서는 ‘치매’라는 주제로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1. 노인성질환 증가와 인구 고령화
한국은 전 세계에서 유래 없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늙어가는 국가다. 2023년 기준 대한민국 65세 이상 노년층 비중은 18.4%이며 2045년에는 약 37%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이런 추세 속에서 노인성 질환 환자 수도 함께 늘어난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는 치매·뇌졸중·파킨슨병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치매는 다른 병과 달리 오랜 시간 간병해야 하고 치료 방법도 마땅치 않아 가족들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2. 치매 원인과 종류
다양한 요인들이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인다. 뇌경색이나 알츠하이머 같은 퇴행성 변화뿐만 아니라 혈관 손상 및 염증 반응 또한 치매 발생 인자로 작용한다. 한편 치매 유형 역시 매우 다양하다. 널리 알려진 알츠하이머형 치매 외에도 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등이 존재한다. 각 형태마다 특징 증상 차이가 있어 정확한 진단 후 적절한 치료법 적용이 필요하다.
3. 조기 발견 중요성과 검사 방법
완치 불가능한 만큼 예방 차원에서의 노력뿐 아니라 조기에 발견해 더 심각한 상태로 발전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기억력 저하 또는 성격 변화같이 평소와는 다른 행동 패턴이 관찰되면 즉시 병원 방문하길 권장한다. 또 인지 선별검사나 MRI 촬영 통해 현재 상태 확인 가능하며 결과 토대로 향후 계획 수립하면 된다.
4. 정부 지원 사업 현황
정부에선 치매국가책임제 시행하여 지역별 치매안심센터 구축하였고 이곳서 무료 검진 서비스 제공함으로써 국민 부담 완화하고자 노력했다. 더불어 장기요양보험제도 개선하면서 본인부담금 경감 대상 확대했고 치매가족휴가제 도입하기도 했다. 앞으로도 꾸준한 정책 개발 추진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혜택 받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5. 개인 스스로 할 수 있는 예방법
개인차도 분명 존재하지만 대체로 규칙적인 운동 습관 유지하거나 균형 잡힌 식습관 가지는 쪽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건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독서나 명상 같이 뇌 활동 자극하는 취미 생활 즐기거나 대인관계 활발히 유지해도 도움 된다고 하니 참고하자.
6. 민간기업 참여 사례
최근 여러 기업들은 치매 관련 연구 투자 늘리고 있으며 자체 제품 출시 통해서 시장 확장 노리는 모습 보인다. 일례로 SK바이오팜은 미국 FDA로부터 부분 발작 치료제 ‘엑스코프리’ 품목 허가 획득했으며 셀트리온은 도네페질 패치제 임상 3상 성공했다고 밝혔다. 아직 갈 길 멀지만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 이뤄진다면 유의미한 성과 도출될 거라 예상된다.
7. 결론 – 공존 위한 우리 역할
이제 치매는 한 가정만의 문제 아닌 사회 구성원 모두가 고민해야 할 숙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각자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최선 다하는 동시에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문화 만들어 나가는 게 급선무 아닐까 싶다. 그런 의미에서 나부터 앞장서서 작은 실천이라도 꾸준히 이행해야겠다.
마치며
초고령사회 진입 앞둔 지금 치매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흔한 질병이 되었다. 그렇기에 마냥 두려워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대처하려는 자세 가져야 하며 정보 수집 통한 지식 습득 게을리하지 말아야겠다. 그렇게 하다 보면 언젠가는 정복까진 아니더라도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까지는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